수입원으로서의 특허: 휴면 자산을 현금화하여 불황을 극복하기

  • 2019년 미국에서 있었던 많은 배상 사건에서 볼 수 있듯, 적극적인 특허권 주장은 특허권자에게 고액의 수익을 창출하여 불황을 극복하는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 2011년 미국 개정특허법(America Invents Act, AIA) 입법 및 이후의 판례는 특허권 가액 하락을 초래하였으나, 선례 효력이 있는 최근 미국 특허심판항소위원회(U.S. Patent Trial and Appeal Board, PTAB)의 심결은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 최근 들어 특허권자에게 가장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 미국법상 특허권 행사 환경이 개선된 지금, 각 사업체와 투자자 및 자문역은 주장 가능한 지식재산권 자산을 선별하고 활용할 중요한 시기입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4 14

제9연방순회항소법원, 코브레 & 김이 법정 조언 보고서에서 개진한 주장을 원용하여 하급심의 페이스북에 대한 프라이버시 소송 기각 판결 파기

Daily Journal은 이용자 개인 정보를 이용한 이윤행위를 이유로 페이스북을 제소한 집단 소송의 재속행을 허용한 이번 제9연방순회항소법원 판결에 관한 코브레 & 김의 Steven Perlstein 변호사 논평을 인용하였습니다. 이는 현대의 데이터 기반 경제에 광범위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결정입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4 3

Calvin Koo 변호사, 첨단 기술에 기존 법리를 적용한 홍콩 법원의 판결 해설

코브레 & 김의 Calvin Koo 변호사는 Hong Kong Lawyer에 기고하여 암호화폐와 스마트폰 등 신기술에 기존 법리를 적용한 홍콩 법원의 최근 판결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4 2

Matthew Boucher와 Nathan Park 변호사, “재벌의 미래”를 논하다

코브레 & 김의 Matthew Boucher 및 Nathan Park 변호사는 Global Competition Review 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경쟁법 감시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의 최근 단속 추세를 논했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3 30

Martin De Luca 변호사, Law360 지면에서 뉴욕법상의 불가항력 법리 해설

코브레 & 김의 Martin De Luca 변호사는 Law360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다가올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소송을 불가항력 조항을 중심으로 논하였습니다. 불가항력 조항은 천재지변이나 기타 통제불능의 사건 발생시 사업자의 계약상 의무 이행을 면제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3 26

Jef Klazen 변호사, 2020년 전 세계적 자산 회수의 도전과 기회를 전망

코브레 & 김의 Jef Klazen 변호사는 최근 Corporate Disputes와의 원탁토론 인터뷰에서 자산 추적과 회수의 국제적 도전을 논의했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3 24

Robin Rathmell 변호사, Forbes 인터뷰에서 고액 개인 자산가에게 가해지는 디지털 위협 논의

코브레 & 김의 Robin Rathmell 변호사는 Forbes와의 인터뷰에서 고액 개인 자산가(HNWIs)에 대한 위협이 나날이 심각해지는 상황을 논했습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대유행 사태와 함께 고액 개인 자산가에 대한 사이버 위협도 증가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3 13

Andrew Stafford QC와 James Chapman-Booth 변호사, 도산을 활용한 자산 회수 논의

코브레 & 김의 Andrew Stafford QC(영국 왕실 고문 법정변호사) 및 James Chapman-Booth 변호사는 Commercial Dispute Resolution에 기사를 기고하여 판결문 집행의 수단으로서의 도산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3 3

David McGill 변호사, National Review와 법무부의 형사사법공조조약 논란 논의

코브레 & 김의 David McGill 변호사가 National Review와 검찰 측이 여타 방법으로 정보를 습득한 후 소멸시효 유예를 목적으로 형사사법공조조약(MLAT)을 오용했다는 혐의와 관련하여, 법무부에 제기된 정보 요청 신청을 논의하기 위해 자리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2 27

코브레 & 김, Waldorf Astoria 자금 조달 사건에서 Adare에 반대 소송 제기

코브레 & 김 변호사팀이 2월 17일, Michel Ohayon과 그의 회사 Yellowstone Capital Management SA를 대리하여 런던 고등법원에 Adare Finance DAC에 대한 반대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2 26

Wall Street Journal: 코브레 & 김, 법무부의 외국 증거 요청 사용에 이의 제기

The Wall Street Journal은 법무부가 시간을 벌기 위하여 형사사법공조조약(MLAT) 요청을 오용해 왔을 수 있다는 것을 전(前) 검사가 폭로한 후, 코브레 & 김 변호사들이 제기한 법무부의 형사사법공조조약 요청에 대한 정보 제공 강제 신청에 대해 보도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2 24

Beau Barnes 변호사, 중국 유조선에 대한 미국 제재 해제 논평

코브레 & 김의 Beau Barnes 변호사는 Global Trade Magazine과 인터뷰를 하여 미국 재무부와 해외자산통제국이 지난 1월 31일 유조선 COSCO Dalian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기로 한 결정을 해설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2 7

특허권 강화 소송 전략의 변화를 다룬 Bloomberg 기사에서 Michael Ng 변호사 인용

특허권 강화 소송 전략의 변화, 특히 미국 특허청의 당사자계 무효심판(inter partes reviews, IPRs)을 다룬 Bloomberg Law 기사에서 코브레 & 김의 Michael Ng 변호사를 인용하였습니다.

Read More

간행물 2020 01 28

Benjamin Sirota 변호사, Bloomberg Law와 함께 Farelogix-Sabre 합병 논의

코브레 & 김의 Benjamin Sirota 변호사는 다가오는 항공사 예약 회사 Farelogix와 Sabre 간 합병 재판을 논의하기 위해 Bloomberg Law와 자리하면서, 해당 미국 법무부 사건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였습니다.

Read More

Loading